2024.05.16
배운내용
디자인 스프린트 1일차
디자인 스프린트 원리
1.
고객중심
2.
가장 긴급한 문제 중심
3.
바르게 아닌 빠르게 - 실패를 용납
4.
아이디어는 혼자서, 의견 수렴은 다같이, 분석과 직관은 동시에
5.
논의가 아닌 시각화 - 최대한 시각화 시키기
디자인 스프린트 원리에 따라 오늘 하루 진행
•
문제정의를 한 기존의 서비스를 정하기
•
장기목표 설정
•
핵심 질문 설정
•
고객여정 지도 그리기를 통해 제공하고자하는 서비스에 대한 도식화
1.목표 & 타깃 설정 (문제 정의)
1.
도착점에서 시작, 장기목표, 핵심질문
2.
지도 그리기
3.
실무자 인터뷰 & HMW(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
4.
타깃 설정 (신규고객=표적타깃, 커피 콩을 설득시키기 = 사건)
1.도착점에서 시작 (how)
장기적인 목표 수립 (낙관적 태도)
-왜 이 프로젝트를 하는가, 2년 후에 서비스 의 모습은?
핵심 질문 열거 (비관적 태도)
이번 스프린트에서 해결하고 싶은 문제는 무엇인가?
오늘의 집에 선물하기 기능을 구현해보자!
**왜 오늘의 집에서 선물하기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가? **
2.장기목표 수립하기 (개별적으로 진행)
고객초점, who나 what이 있어야하고, who는 타깃고객(내부 or 외부)
어떤 고객에게 무엇을 제공하고 그렇게 하면 무엇이 좋은가?
3. 핵심질문 설정하기(비관적 태도)
•
*장기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가정과 장애물(의문점, 실패요인) 들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질문으로 바꿔보는 것 **
이번 스프린트에서 우리가 답하고 싶은 질문들
**가정 ** - 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꼭 실현되어야할 것
장애물 - 우리 계획이 실패했다고 상상하면 그 실패원인은 무엇인가?
가정과 장애물 열거 -> 가정과 장애물들을 질문으로 바꾸어 답을 찾는다.
ex)
**장기목표 **- 더 많은 환자가 임상시험을 신청한다.
가정 - 신속성이 중요(환자는 기다릴 시간이 별로 없다)
질문 - 해당하는 환자를 충분히 빨리 찾을 수 있는가?
4. 지도 그리기
스프린트의 핵심 목표 및 질문에 대한 해결지도를 작성하는 활동
목적
장기 목표와 핵심 질문에 대한 해결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절차 지도 => 구체적인 타깃으로 좁히게 될 것
•
*방법 **
장기목표 & 핵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사용)하는 절차를 그린다.
서비스를 경험하는 고객들 중심으로 그린다.
장기 목표에 근거하여, 어떻게 고객 경험이 이루어지는지 그린다.
행위자(1) --------------> 고객 여정(3) --------------> 행위자 결말(2)
1. 행위자 열거
서비스와 관련된 주요인물들, 여러 유형의 고객과 관련 담당자/제공자들(복수 가능)
ex) 기존고객, 신규고객, 기업 등
2.행위자 결말
제품과 서비스 등의 이용 결과 , 먼저 결과가 무엇인지를 의견내고 의견수렴하기
ex)구매, 서비스 이용, 회원가입,,,등
3.고객여정
주요 단계만 15개 이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 (인지 - 이해 - 이용)
ex) 웹 서비스 방문, 어플 방문, 광고 유입, 팝업스토어 방문 등
5. 전문가 인터뷰
스프린트의 타깃 선택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수집하고, 개별 솔루션들을 스케치하는데 필요한 재료를 모은다
EX) 전문가에게 스프린트를 소개 -> 전문가의 피드백 -> **질문 **
질문 = 어떻게 하면 ~ 할 수 있을까? How Might We HMW
문제를 기회로 바꾸는 활동 - 어떻게 하면? 쓸때 어떻게하면을 상단 왼쪽에 위치
장기 목표와 핵심 질문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질문 선택
6.타깃 설정하기
지도의 고객 여정에서 어떤 거(기존, 신규) 먼저 할 것인가? -하나만 혹은 두개 다
표적 고객과 사건을 정의 - 가장 중요한 첫 타깃, 사건에도 영향을 줄 대상 & 사건을 선택, 가장 중요한 고객은 누구인가?
표적고객이 회사와 함께 겪는 고객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주요 순간(단계)은 어디(언제)인가?
구체적으로 누구에게 무엇을 제공한다.
정의 내린 타깃을 핵심 질문 바로 밑에 적기
생각
디자인 스프린트를 이론에서 접한대로, 개인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다같이 수렴하면서 정해진 시간 내에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체감했다. 오늘 분석할 서비스의 문제정의를 시작으로 타깃+사건 까지 설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질문과 의사소통 능력** 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체감했다.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하기 전, 올바른 분석을 위한 문제정의는 올바른 질문에서 시작해야하며, 공유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에게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도와주기 위해선 의사소통 및 설득 능력을 여기서 함양해 나가야한다는 중요성을 인지한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