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성동2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DAY 8] 디자인 스프린트 마지막

2024.05.23

배운내용

성과발표

오늘의 집 디자인 스프린트 성과발표

멘토님의 피드백

A. why?라는 질문의 부재

왜?'라는 질문이 빠져있다. 우리 서비스의 장기목표와 핵심질문들이 맞고 왜 해야하는지? 언급이 없음
장기 목표를 정할때, 이 프로젝트 왜하고, 했을때 고객에게 좋은 점이 무엇인지를 설정해야함
인터뷰와 결론 연결점에 논리적인 설득이 부족함
서비스 자체에 대한 피드백 보다는 앱 환경에 대한 피드백에 치중되어있음(앱이 편한지 불편한지)
고객 인터뷰의 초점은 무엇인가?
추천 서비스를 바꿨다면 이전 추천 서비스보다 좋은가?
패턴 분석 이후, 이에 대한 변수는 무엇이 있을까? 라는 질문이 해당 프로젝트에는 적합하다. 장기목표는 고객입장에서 생각해야하고, 핵심질문은 기업 입장에서 생각해야함

B. 추상적인 정의

커스터마이징과 별개로 '개인화 서비스'에서 주장하는 '개인화'는 무슨 의미? 정의는 추상적이면 안된다.
가장 중요한 서비스에 대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다.
들어온 고객을 유지하기 위한 추천 서비스 컨셉은 올바르다.
고객 타깃팅을 잘못되었음
서비스 정의와 타깃 그리고 고객에 대한 페르소나가 문제였다.

C. 서비스 제공 주체의 부재

이 서비스를 기획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항공사인가, 티켓 판매 사이트인가?
서비스 구상 전 서비스 기획 주체를 먼저 고려해야한다.
누구 입장에서 이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가?
주체를 정하면, 지정한 서비스가 왜 필요한가? 1차 고객은 누구인가?
서비스 제공 주체의 정체성이 불분명하기에 이용고객, 서비스 목적이 불분명함
연착률에 대한 두 가지 시점, 구매 할 때와 구매 이후 하지만, 구매 할때 적합한 서비스인가?
주체를 제대로 정했다면 해당 서비스가 서비스 주체의 목적 및 방향성과 맞는가? (ex. 서비스 주체가 티켓 판매 사이트라면 연착률이 매출 증가에 영향을 줄까? )

D. 애매한 장기 목표(기업의 니즈)와 타깃

고객을 인지를 시키는게 목표인지, 인지를 시키면 고객들이 좋은게 무엇인가?
인지 시키는 것이 목표라면, 주요 절차는 앱에 포커스를 두는 것이 아닌 '마케팅에 초점'을 둬야함
장기 목표가 애매함
인지를 시키고 싶다면, 무슨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가?
기존 서비스에 프로세스를 추가하는 것인지, 고객 리사이클을 유도하는 것인지 애매한 목표
'포인트 적립'하는게 가장 중요하다면, 왜? (프로세스가 아닌 기업의 니즈)
서비스 기획 주체자의 니즈는 무엇인가? 기업의 목적
회사의 니즈에 맞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해서 다시 진행하면 좋을 듯하다. (포트폴리오)

아Zi트. 장기목표의 정의 부재

장기목표 = 기존 고객에게 편리함을 극대화시키고, 신규 고객을 유치한다. 핵심질문 = 타 플랫폼에 비해 경쟁력이 있는가? 새로운 고객이 불편해서 안들어오지 않을까? 타깃 = 선물하기를 필요로 하는 가입자 사건= 신규고객에게 선물하기
why 질문은 장기 목표 설정의 시작
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하는가?
문제가 정의되고 해결점을 찾았다면 그 해결점이 우리에게 좋은 점은 무엇?
기존고객에게 편리함을 극대화해야하는 이유는?
기존고객을 편하게 하는 것이 선물하기인가?
장기목표의 편리함 극대화에 대한 정의의 부재
서비스가 선물하기라면, 장기목표의 중심이 '우리 선물하기 서비스를 시작하자' 로 시작해야함
신규고객 유치는 장기목표에 어울리지 않음
경쟁력의 정의 - 편리한가, 제품 가격이 저렴한가, 제품 종류가 많은가 등
경쟁력에서도 편리성에 집중했어야함
맵에서 언급한 '신규고객유치' 내용이 이후에는 언급이 없었음

F. 서비스는 좋으나 플랫폼 선택의 적합성

링크드인이 서비스에 적합한 플랫폼인가?
왜 링크드인이 해당 서비스를 해야하는가?
서비스를 실행하면 링크드인에게 왜 좋은가?
사실상 기획한 서비스가 현재에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해당 서비스와 링크드인 플랫폼에 대한 연결점이 있어야함

성과 발표 내용 정리

1.포트폴리오에선 'WHY'를 통해 어떤 결과를 도출했는지가 중요
2. 디자인 스프린트시 집중 해야하는 것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그 자체
3. 타깃 설정과 서비스 방향은 일관성이 있어야한다.
4. 서비스를 설정할때 제공하고자하는 핵심 요소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어느 정도 생각을 해야함 (ex. 과거 비행기 연착 사례와 미래 비행기 연착과는 인과관계가 아니다.)
5. 디자인 스프린트에서 서비스 주체가 누구인지가 명확해야함
6. 의견은 개인화 가능 하지만 근거/증거로 개인화는 부적절함'
7.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어떤 것을 놓쳤는지 파악하는것이 중요함
8. 기업은 고객을 돈을 벌려고 고객을 유치하는 것이 아닌, 고객을 편하게 만들기 위함 -> 왜? (장기목표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