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Zi트
1.팀 미션
즐기자, 실패가 두렵지 않은 것처럼
2.팀 비전
2.1팀원 모두 프로젝트 끝까지 함께하는 일
2.2다음이 기다려지는 팀
2.3팀원 모두가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분석가 역량 함양하기
3.핵심가치
신뢰, 화합, 존중
4.팀 룰
4.1 시간 약속 지키기
4.2 포기하지 않기
4.3 반응해주기
디자인 스프린트
Q. 오늘의 집 서비스에 선물하기 기능을 추가하면 어떨까?
WQ. 왜 '오늘의 집'에서 선물하기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가?
기존고객 입장에서 원하는 물건을 선물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
카카오톡과 달리 선물하기 서비스가 없어서 어려움을 경험
장기목표
기존고객에게 편리함을 극대화시키고, 신규고객을 유치한다.
핵심질문
1. 타 플랫폼에 비해 경쟁력이있는가?
2. 새로운 고객이 불편해서 안들어오지 않을까?
타깃
선물하기를 필요로 하는 가입자
사건
신규 고객에게 선물하기
프로젝트 개요
1. 서비스 아이디어 정하기 & 전지 채우기
2. 좋은 아이디어 포착
3. 솔루션 결정과 스토리보드 제작
4. 프로토타입 제작
5. 고객인터뷰
6. 성과발표
프로젝트의 자세한 타임라인
프로젝트 회고
KEEP
1. 팀과 서비스 기획 측면
•
스프린트 기간 동안 팀원들 모두가 과정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
서비스 설정을 명확하게 설정하였던 점
•
진행에만 초점을 두기보단 장기목표와 타깃에 대한 의문을 계속 던졌던 점
•
의견 발산 및 수렴에 불화가 없었다.
•
시간이 중요한 스프린트 과제들을 제 시간에 완료했다.
•
서비스 기획 과정에서도 스프린트 개념을 잊지 않으려 노력했다.
2. 개인적인 측면
•
솔루션 찾기 등의 의견 발산 시간에 아이디어들을 제공했던 점
•
서비스 기획도 기획이지만, 디자인 스프린트에 집중하려했던 점
•
의견 수렴시 개인 의견을 너무 고집하지 않았던 것
PROBLEM
1. 팀 & 서비스 기획 측면
•
서비스 기획 진행 과정에서 장기목표와 타깃을 잃어버렸던 점
•
장기 목표인 '기존고객의 편리함 극대화'가 추상적인 정의였음 -> 직관적인 정의의 필요성
•
장기 목표인 '신규고객 유치'에 대한 내용이 고객 여정 지도에 제시되지 않았음
•
고객에 대한 정의가 목표에서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다.
•
제한된 시간 내에 멘토님을 활용하지 못한 점
2. 개인적인 측면
•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장기목표와 타깃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 점
•
WHY로 시작하는 질문은 제대로 하지 못했던 점
•
정해진 장기목표와 타깃에 대해 적극적인 의문을 표하지 못한 점
TRY
1. 팀 & 서비스 기획 측면
•
의견이 자유롭게 공유되는 환경을 유지하기
•
다음 프로젝트에는 핵심질문과 타깃을 명확하게 정의를 내리고 시작하기
•
멘토님께 적극적으로 도움을 구해보기
2. 개인적인 측면
•
WHY라는 질문을 생활화하자
•
HMW 질문을 생활화하자
•
디자인 스프린트 정신을 고수하자
•
어떤 프로젝트든 문제정의를 먼저 정하는 습관을 들이자.
느낀점
이번 DA 과정에서 처음 알게된 디자인 스프린트는 데이터 분석 과정과 유사한 점이 많다고 느꼈다. 문제정의를 시작으로 팀원들의 아이디어 및 의견을 수렴하고, 최종적으로 시각화하여 고객에게 발표하는 과정이 분석가가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그리고 시각화를 통해 이해 관계자에게 발표하는 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느껴서 DA 커리큘럼 초반에 디자인 스프린트를 배우고 직접 실습해볼 수 있어서 배울점이 많았던 것 같다.
어려웠던 점
개인적으로 디자인 스프린트에서 어렵다고 느껴졌던 점은 '장기목표와 타깃설정을 프로젝트 기획 과정까지 끝까지 상기하며 끌고 가는 것이었다.' 디자인 스프린트 초반 제공할 서비스에 대한 장기목표와 핵심질문을 설정하고 지도를 그리는데까지 큰 어려움은 없었으나 각자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장기목표와 타깃이 흐려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도착점부터 시작하는 디자인 스프린트 특성 때문인지 다음 단계마다 세분화되고, 개별화되는 과정이 제일 중요한 장기목표를 머릿속에서 흐려지게 만들었던 것 같다. 특히 솔루션 스케치와 미술관 단계에서 내가 생각했을때 좋은 솔루션 아이디어다 하고 제출하면, 장기목표와 안맞거나, 타깃, 핵심 질문에 빗나가는 경우가 있었다.
또 다른 어려운점은 문제정의였는데, 사실 이는 PROBLEM과 성과 발표시 멘토님이 피드백 해주신 내용과 직결되는 내용이다. 나는 한번 주제가 정해지면 이에 대해 잘 수긍하고 다음을 생각하는 하는 편이기에 의문을 표하지 않았는데, 이것이 서비스의 장기목표에 대한 정확한 정의의 부재를 야기했던 것 같다. '왜 선물하기가 기존고객의 편리함을 극대화 해주지?에 대한 충분한 고찰이 부족했던 것 같다.
배운점
디자인 스프린트 정신을 배웠다. 제한 시간 내 빠르게 실패해보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다음을 기약하는 것. 이전에도 실패는 많이 해봤지만, 실패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생각해본 적은 없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번 짧은 프로젝트를 거치고 보니 이 방법이 팀원들 간 혹은 개인이 의사결정을 내리는 순간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라는 것을 배웠고 무엇보다 '올바른 문제정의' 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처음 서비스를 결정하고 장기 목표, 핵심 질문과 타깃 설정은 WHY를 기반으로 한 문제 정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후에 큰 차질 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배울 수 있었다.
이어서 질문하는 방법들에 대해도 배울 수 있었는데, WHY를 기반으로 한 질문을 중심으로 HMW(How Might We) 어떻게 하면 ~ 할 수 있을 까와 같은 질문들을 통해 내가 직면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한 인사이트였다. 또한 이번 디자인 스프린트는 분야를 막론하고 비즈니스 도메인 지식이 아예 전무했던 나에게 서비스가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 알 수 있었고 기업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적용점
이번 프로젝트에서 배운 것들을 바탕으로 향후 취업이나 삶에 적용할 점이 있다면 '디자인 스프린트 정신'과 '올바른 질문을 통한 문제정의'를 함양하고, 적용하고 싶다. 데이터 분석가가 꿈이지만 관련 베이스가 전문하고 배울 것은 많은 현재 상태에서, 빠른 실패를 경험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스프린트 정신이 취업 길에서 나날이 나 자신을 발전시켜 갈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또 데이터 분석의 측면에서 분석의 초석이 될 수 있는 '문제정의를 올바르게 내릴 수 있는 사고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면,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장 큰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